수학교육과정(중등) – 중학교 3학년 학습내용 : 제곱근, 무리수, 곱셈공식, 인수분해, 중근, 근 공식, 이차함수, 삼각비, 원주각, 중앙값, 평균, 최빈값, 분산, 표준편차

⁕ 중학교 3학년 수학 학습 단원, 학습 요소, 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 01. 수와 연산 (1) 제곱근과 실수 ① 제곱근의 의미를 알고 그 성질을 이해한다.② 무리수, 실수의 개념을 이해한다.③ 실수의 크고 작은 관계를 판단할 수 있다.④ 근호를 포함한 식의 사칙계산을 할 수 있다.※ 학습 요소 ※제곱근, 근호, 무리수, 실수, 분모의 유리화 등 ※교수, 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정사각형 대각선 길이 등을 이용하여 무리수의 존재를 이해시킨다. 제곱근과 무리수는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하여 도입할 수 있다. 실생활에서 무리수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인식시킨다.02. 문자와 식 (1) 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다항식의 곱셈과 인수분해를 할 수 있다.(2)이차방정식-이차방정식을 풀 수 있고, 이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학습요소 ※인수분해, 완전제곱식, 이차방정식, 중근, 뿌리공식 등 ※교수, 학습방법 및 유의사항 ※다항식의 곱셈과 다항식의 인수분해의 역관계를 이해시킨다. 이차방정식은 해가 실인 경우만을 다루고, 근과 계수와의 관계는 다루지 않는다.이차방정식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다양한 방법으로 풀 방법을 찾아본다. 이차방정식을 실생활 문제에 적용해 보고, 그 풀이 문제 상황에 적합한지 확인한다. 다만 지나치게 복잡한 활용 문제는 다루지 않는다.03. 함수 (1) 이차함수와 그래프 ① 이차함수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 그래프를 그릴 수 있다.② 일차함수 그래프의 성질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학습 요소 ※2차 함수, 포물선, 축, 정점 등 ※ 교수, 학습방법 및 유의사항 ※함수의 개념은 두 양상간의 대응관계를 이용하여 도입한다. 다양한 상황을 이용해 2차 함수의 의미를 다루고, 너무 복잡한 활용 문제는 다루지 않는다.04. 기하 (1)삼각비 ①삼각비의 의미를 알고 간단한 삼각비의 값을 구할 수 있다.② 삼각비를 활용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2) 원의 성질 ① 원의 줄에 대한 성질과 접선에 대한 성질을 이해한다.② 원주각의 성질을 이해하다.※ 학습 요소 ※삼각비, 사인, 코사인, 탄젠트, 원주각, sinA, cosA, tanA 등 ※ 교수, 학습방법 및 유의사항 삼각비 사이의 관계는 취급하지 않는다. 삼각비 값은 각의 크기가 0도에서 90도 사이인 경우에만 다룬다. 삼각비를 활용하여 직접 측정하기 어려운 거리나 높이를 찾아본다. 원과 비례에 대한 성질은 다루지 않는다.05. 확률과 통계 (1) 대푯값과 산포도 ① 중앙값, 최빈값, 평균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구할 수 있다. ② 분산과 표준편차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구할 수 있다.(2)상관-자료를 산점도로 나타내고 이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말할 수 있도록 한다.※ 학습요소 ※중앙값, 최빈값, 대푯값, 산점도, 편차, 분산, 표준편차, 산점도, 상관 등 ※교수·학습방법 및 유의사항 ※자료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대푯값이 무엇인지 생각해보고 어떤 상황에서 각 대푯값이 유용한지 토론해본다.상관관계는 양의 상관관계, 음의 상관관계, 상관관계가 없는 경우로 구분하여 이해시킨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